연세대학교 스팀슨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세대학교 스팀슨관은 1915년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설립한 조선기독교대학이 1917년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된 후, 찰스 스팀슨 등의 기부와 올리버 에비슨 교장의 건립으로 세워진 건물이다. 미국 건축가 헨리 머피가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 설계를 담당했으며, 스팀슨관은 연희전문학교 신촌 캠퍼스 내 최초의 석조 건물로, 일제강점기 대학 캠퍼스 건축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1919년 4월 착공하여 1920년 8월 준공되었으며, 단순한 장방형 평면에 석조 외벽, 베이 윈도우, 튜더 아치 등의 건축적 특징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대문구의 건축물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 서울 서대문구의 건축물 - 감리교신학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는 1887년 배재학당에서 시작된 신학교육을 기원으로, 협성신학교와 감리교신학교를 거쳐 1959년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학과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한국 감리교 신학의 중추적인 사립 신학대학교이다. - 서울특별시의 사적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사적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 연세대학교 - 방우영
방우영은 조선일보의 회장으로서 조선일보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밤의 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컸고, 언론 사업 확장과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한 언론인이다. - 연세대학교 - 정갑영
정갑영은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자 제17대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로, 산업조직론과 국제경제학을 전공했으며 자유기업원 이사장과 동아일보 객원 논설위원을 맡고 경제학 관련 저술 및 방송 활동을 통해 대중에게 경제학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
로마자 표기 | Seoul Yeonse Daehakgyo Seutimsongwan |
유형 | 사적 |
지정 번호 | 275 |
지정일 | 1981년 9월 25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
소유자 | 연세대학교 |
시대 | 일제강점기(1920년) |
면적 | 449.6m2 |
문화재청 ID | 13,02750000,11 |
![]() |
2. 연희전문학교 설립과 언더우드 가문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영어, 원두우한국어(元杜尤), 1859년 ~ 1916년)는 조선 말기에 최초로 입국한 미국 장로교 선교사였다. 그의 아들인 호러스 호톤 언더우드(Horace Horton Underwood영어, 원한경한국어(元漢慶), 1890년 ~ 1951년)은 서울에서 출생하여 연희전문학교의 교장 등을 역임했다. 원한경의 아들들인 원일한은 연세대학교 교수로, 원요한은 청주에서 선교사업을 하고 있다. 언더우드 가계는 3대에 걸쳐 대한민국에서 대학교육과 기독교 선교에 힘쓰고 있다.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1915년에 종로에 있던 기독교청년회관 구내에 조선기독교대학(Chosun Christian College)을 설립하였으며, 이 학교는 1917년에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되었다. 언더우드의 형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John Tomas Underwood)는 10만 달러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은 대학 설립용 자금으로 25,000달러를 학교에 기부하였다. 언더우드는 미국에 돌아가서 항구적인 교사 건립용 기부금 모금을 했는데, 스팀슨에게서 위 기부금을 얻은 후 세상을 떠났으며, 후임 교장인 올리버 에비슨(Oliver R. Avison영어, 어비신한국어(魚丕信) 1860년 ~ 1956년)이 이 기부금으로 스팀슨관을 건립하였다.
2. 1.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와 조선기독교대학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영어, 원두우한국어(元杜尤), 1859년 ~ 1916년)는 조선 말기에 최초로 입국한 미국 장로교 선교사였다. 그는 1915년 종로에 있던 기독교청년회관 구내에 조선기독교대학(Chosun Christian College)을 설립하였으며, 이 학교는 1917년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되었다. 언더우드의 형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John Tomas Underwood)는 10만 달러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은 대학 설립용 자금으로 25,000달러를 학교에 기부하였다. 언더우드는 미국에 돌아가서 항구적인 교사 건립용 기부금 모금을 했는데, 스팀슨에게서 위 기부금을 얻은 후 세상을 떠났으며, 후임 교장인 올리버 에비슨(Oliver R. Avison영어, 어비신한국어(魚丕信) 1860년 ~ 1956년)이 이 기부금으로 교사를 건립하였다.언더우드 가계는 3대에 걸쳐 대한민국에서 대학교육과 기독교 선교에 힘쓰고 있다. 그의 아들인 호러스 호톤 언더우드(Horace Horton Underwood영어, 원한경한국어(元漢慶), 1890년 ~ 1951년)은 서울에서 출생하여 연희전문학교의 교장 등을 역임했다. 원한경의 아들들인 원일한은 연세대학교 교수로, 원요한은 청주에서 선교사업을 하고 있다.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 설계는 미국 건축가인 헨리 머피(Henry Killian Murphy)가 작성하였다. 머피는 1913년 12월부터 일본·중국·필리핀·한국에서 건축 활동을 했으며, 주로 미션계 대학 건축을 설계했다. 그가 연희전문학교 캠퍼스와 교사동을 설계한 시점은 머피·다나건축사무소를 운영할 때로 추정된다. 현재의 백양로 등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의 골격은 초기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었다.
2. 2. 연희전문학교 인가와 발전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영어, 원두우한국어(元杜尤), 1859년 ~ 1916년)는 1915년 종로에 있던 기독교청년회관 구내에 조선기독교대학(Chosun Christian College)을 설립하였으며, 이 학교는 1917년에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되었다. 그의 형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John Tomas Underwood)는 10만 달러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은 대학 설립용 자금으로 25,000달러를 학교에 기부하였다.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 설계는 미국 건축가인 헨리 머피(Henry Killian Murphy)가 담당했다. 그는 1913년 12월부터 일본·중국·필리핀·한국에서 건축 활동을 했으며, 주로 미션계 대학 건축을 설계했다. 현재의 백양로 등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의 골격은 초기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었다.
최초의 석조 교사동은 스팀슨관으로 명명되었다. 명칭은 기부금을 낸 스팀슨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건물의 공사 감독자는 학교의 화학과 교수인 밀러(E. H. Miller)였다. 건물은 1919년 4월에 착공하여 1920년 8월에 준공되었으며, 지상 2층, 반지하층으로 건축 면적은 상당히 큰 규모였다.
단순한 장방형 평면에 중복도식이며, 중앙에 주 출입구를 두고 그 맞은편에 계단실을 두었다. 외벽은 넓은 창과 장식이 없는 석조 외벽으로 단순한 외관으로 처리되었다. 주 외장 재료는 거친 마감 운모편암석이며, 창문 테두리는 다듬은 화강암을 썼다. 베이 윈도가 중앙탑 2층과 좌우 측면 1·2층에 설치되었다. 주 출입구 1층에는 튜더 아치를 사용하였다. 지붕은 박공지붕에 슬레이트 마감하였으며, 목조 트러스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시대 대학캠퍼스 건물은 대부분 석조, 고딕풍의 건축이었다. 이러한 건물들의 최초 건물이 바로 스팀슨관이다. 즉, 이 건물은 연희전문학교 캠퍼스 내의 최초 석조 건물이면서, 이후에 건설되는 다른 대학 캠퍼스 건물의 첫 참고 사례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2. 3. 언더우드 가문의 교육 및 선교 활동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영어, 원두우한국어(元杜尤), 1859년 ~ 1916년)는 조선 말기에 최초로 입국한 미국 장로교 선교사였다. 그의 아들인 호러스 호톤 언더우드(Horace Horton Underwood영어, 원한경한국어(元漢慶), 1890년 ~ 1951년)은 서울에서 출생하여 연희전문학교의 교장 등을 역임했다. 원한경의 아들들인 원일한은 연세대학교 교수로, 원요한은 청주에서 선교사업을 하고 있다. 언더우드 가계는 3대에 걸쳐 대한민국에서 대학교육과 기독교 선교에 힘쓰고 있다.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1915년에 종로에 있던 기독교청년회관 구내에 조선기독교대학(Chosun Christian College)을 설립하였으며, 이 학교는 1917년에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되었다. 언더우드의 형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John Tomas Underwood)는 10만 달러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은 대학 설립용 자금으로 25,000달러를 학교에 기부하였다. 언더우드는 미국에 돌아가서 항구적인 교사 건립용 기부금 모금을 했는데, 스팀슨에게서 위 기부금을 얻은 후 세상을 떠났으며, 후임 교장인 올리버 에비슨(Oliver R. Avison영어, 어비신한국어(魚丕信) 1860년 ~ 1956년)이 이 기부금으로 스팀슨관을 건립하였다.
3. 스팀슨관 건축
헨리 머피는 1877년 미국 코네티컷주 뉴 헤븐에서 태어나 1899년 예일 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뉴욕에서 건축설계사무소에서 근무하다 1906년에 독립, 1908년에 머피·다나건축사무소를 개업하고, 1920년부터는 머피·마가길·함린사무소를 경영하였으며, 1924년부터는 단독 건축사무소를 운영하였다. 1913년 12월부터 일본, 중국, 필리핀, 한국에서 건축 활동을 했으며, 주로 미션계 대학 건축을 설계했다.
신촌캠퍼스의 골격은 머피의 초기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었다. 연희전문학교의 캠퍼스와 교사동 설계는 머피·다나건축사무소를 운영할 때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건물은 1918년 준공된 목조 2층 건물인 치원관이었으며, 최초의 석조 교사동은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이 기부한 25,000달러로 건립된 스팀슨관이다.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원두우)의 형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는 10만 달러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은 대학 설립용 자금으로 25,000달러를 학교에 기부하였다. 언더우드는 미국에서 항구적인 교사 건립용 기부금 모금을 했고, 스팀슨에게서 기부금을 얻은 후 세상을 떠났다. 후임 교장인 올리버 에비슨(어비신)이 이 기부금으로 교사를 건립하였다.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 설계는 미국 건축가인 헨리 머피가 작성하였다. 머피는 1913년 12월부터 일본, 중국, 필리핀, 한국에서 건축 활동을 했으며, 주로 미션계 대학 건축을 설계했다.
1919년 4월에 착공하여 1920년 8월에 준공되었으며, 지상 2층, 반지하층의 큰 규모였다. 학교의 화학과 교수인 밀러(E. H. Miller)가 건물 공사 감독자였다.
단순한 장방형 평면에 중복도식이며, 중앙에 주 출입구를 두고 그 맞은편에 계단실을 두었다. 외벽은 넓은 창과 장식이 없는 석조 외벽으로 단순한 외관으로 처리되었다. 주 외장 재료는 거친 마감 운모편암석이며, 창문 테두리는 다듬은 화강암을 썼다. 베이 윈도가 중앙탑 2층과 좌우 측면 1·2층에 설치되었다. 주 출입구 1층에는 튜더 아치를 사용하였다. 지붕은 박공지붕에 슬레이트 마감하였으며, 목조 트러스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스팀슨관은 연희전문학교 캠퍼스 내 최초 석조 건물이면서, 이후 건설되는 다른 대학 캠퍼스 건물의 첫 참고 사례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스팀슨관은 단순한 장방형 평면에 중복도식이며, 중앙에 주 출입구를 두고 그 맞은편에 계단실을 둔 형태이다. 외벽은 넓은 창과 장식이 없는 석조 외벽으로 단순하게 처리되었다. 주 외장 재료는 거친 마감 운모편암석이며, 창문 테두리는 다듬은 화강암을 사용하였다. 중앙탑 2층과 좌우 측면 1·2층에는 베이 윈도가 설치되었고, 주 출입구 1층에는 튜더 아치가 사용되었다. 지붕은 박공지붕에 슬레이트 마감하였으며, 목조 트러스 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스팀슨관은 일제시대 대학 캠퍼스 건물 대부분이 석조, 고딕풍이었던 건축양식의 최초 건물이다. 즉, 이 건물은 연희전문학교 캠퍼스 내의 최초 석조 건물이면서, 이후에 건설되는 다른 대학 캠퍼스 건물의 첫 참고 사례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File:Yonsei-university-main-building.jpg|스팀슨관(왼쪽), 언더우드관과 언더우드 동상(중앙), 아펜젤러관(오른쪽)}}]
3. 1.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헨리 머피
헨리 머피는 1877년 미국 코네티컷주 뉴 헤븐에서 태어나 1899년 예일 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뉴욕에서 건축설계사무소에서 근무하다 1906년에 독립, 1908년에 머피·다나건축사무소를 개업하고, 1920년부터는 머피·마가길·함린사무소를 경영하였으며, 1924년부터는 단독 건축사무소를 운영하였다. 1913년 12월부터 일본, 중국, 필리핀, 한국에서 건축 활동을 했으며, 주로 미션계 대학 건축을 설계했다.신촌캠퍼스의 골격은 머피의 초기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었다. 연희전문학교의 캠퍼스와 교사동 설계는 머피·다나건축사무소를 운영할 때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건물은 1918년 준공된 목조 2층 건물인 치원관이었으며, 최초의 석조 교사동은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이 기부한 25,000달러로 건립된 스팀슨관이다.
3. 2. 스팀슨관 건축 과정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원두우)의 형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는 10만 달러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은 대학 설립용 자금으로 25,000달러를 학교에 기부하였다. 언더우드는 미국에서 항구적인 교사 건립용 기부금 모금을 했고, 스팀슨에게서 기부금을 얻은 후 세상을 떠났다. 후임 교장인 올리버 에비슨(어비신)이 이 기부금으로 교사를 건립하였다.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 설계는 미국 건축가인 헨리 머피가 작성하였다. 머피는 1913년 12월부터 일본, 중국, 필리핀, 한국에서 건축 활동을 했으며, 주로 미션계 대학 건축을 설계했다.
1919년 4월에 착공하여 1920년 8월에 준공되었으며, 지상 2층, 반지하층의 큰 규모였다. 학교의 화학과 교수인 밀러(E. H. Miller)가 건물 공사 감독자였다.
단순한 장방형 평면에 중복도식이며, 중앙에 주 출입구를 두고 그 맞은편에 계단실을 두었다. 외벽은 넓은 창과 장식이 없는 석조 외벽으로 단순한 외관으로 처리되었다. 주 외장 재료는 거친 마감 운모편암석이며, 창문 테두리는 다듬은 화강암을 썼다. 베이 윈도가 중앙탑 2층과 좌우 측면 1·2층에 설치되었다. 주 출입구 1층에는 튜더 아치를 사용하였다. 지붕은 박공지붕에 슬레이트 마감하였으며, 목조 트러스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스팀슨관은 연희전문학교 캠퍼스 내 최초 석조 건물이면서, 이후 건설되는 다른 대학 캠퍼스 건물의 첫 참고 사례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3. 3. 스팀슨관 건축적 특징
스팀슨관은 단순한 장방형 평면에 중복도식이며, 중앙에 주 출입구를 두고 그 맞은편에 계단실을 둔 형태이다. 외벽은 넓은 창과 장식이 없는 석조 외벽으로 단순하게 처리되었다. 주 외장 재료는 거친 마감 운모편암석이며, 창문 테두리는 다듬은 화강암을 사용하였다. 중앙탑 2층과 좌우 측면 1·2층에는 베이 윈도가 설치되었고, 주 출입구 1층에는 튜더 아치가 사용되었다. 지붕은 박공지붕에 슬레이트 마감하였으며, 목조 트러스 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스팀슨관은 일제시대 대학 캠퍼스 건물 대부분이 석조, 고딕풍이었던 건축양식의 최초 건물이다. 즉, 이 건물은 연희전문학교 캠퍼스 내의 최초 석조 건물이면서, 이후에 건설되는 다른 대학 캠퍼스 건물의 첫 참고 사례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4. 스팀슨관의 역사적, 건축적 의의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1915년 설립한 조선기독교대학은 1917년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되었다. 언더우드의 형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의 기부금을 바탕으로, 후임 교장 올리버 에비슨이 교사를 건립하였다.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 설계는 미국 건축가 헨리 머피가 담당했다.
현재 신촌캠퍼스의 골격은 초기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었으며, 최초의 석조 교사동은 스팀슨관으로 명명되었다. 1919년 4월 착공하여 1920년 8월 준공된 스팀슨관은 지상 2층, 반지하층 구조의 큰 규모였다. 외벽은 넓은 창과 장식이 없는 석조 외벽으로 단순하게 처리되었고, 거친 마감 운모편암석과 다듬은 화강암이 사용되었다. 중앙탑 2층과 좌우 측면 1·2층에는 베이 윈도가, 주 출입구 1층에는 튜더 아치가 사용되었다.
일제시대 대학 캠퍼스 건물은 대부분 석조, 고딕풍이었으며, 스팀슨관은 이러한 건물들의 첫 사례이다. 즉, 스팀슨관은 연희전문학교 캠퍼스 내 최초의 석조 건물이자, 이후 건설되는 다른 대학 캠퍼스 건물의 첫 참고 사례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4. 1. 한국 대학 캠퍼스 건축에 미친 영향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1915년 설립한 조선기독교대학은 1917년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되었다. 언더우드의 형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의 기부금을 바탕으로, 후임 교장 올리버 에비슨이 교사를 건립하였다.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 설계는 미국 건축가 헨리 머피가 담당했다.현재 신촌캠퍼스의 골격은 초기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었으며, 최초의 석조 교사동은 스팀슨관으로 명명되었다. 1919년 4월 착공하여 1920년 8월 준공된 스팀슨관은 지상 2층, 반지하층 구조의 큰 규모였다. 외벽은 넓은 창과 장식이 없는 석조 외벽으로 단순하게 처리되었고, 거친 마감 운모편암석과 다듬은 화강암이 사용되었다. 중앙탑 2층과 좌우 측면 1·2층에는 베이 윈도가, 주 출입구 1층에는 튜더 아치가 사용되었다.
일제시대 대학 캠퍼스 건물은 대부분 석조, 고딕풍이었으며, 스팀슨관은 이러한 건물들의 첫 사례이다. 즉, 스팀슨관은 연희전문학교 캠퍼스 내 최초의 석조 건물이자, 이후 건설되는 다른 대학 캠퍼스 건물의 첫 참고 사례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